국민 10명 중 8명, 기본소득 도입에 찬성

  • 등록 2021.07.06 13:18:31
크게보기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8명은 월 20만원 또는 월 50만원 기본소득 도입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본소득 실현 시기는 월 20만원 기준으로 ‘3년 이내가 가장 많이 나와 국민들이 조속한 정책 실현을 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사람들은 기본소득을 이렇게 생각한다 2021 기본소득 일반의식 조사 결과(I)>를 발간했다.

 

경기연구원은 조사기관 알앤알컨설팅()에 의뢰해 지난 326일부터 419일까지 전국 성인 1만명(경기도민 5,000명 포함)을 대상으로 기본소득 관련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우선 기본소득 액수를 월 20만원 또는 월 50만원으로 가정했을 때 둘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가지 모두에 찬성한 응답자는 전체 80.8%로 집계됐다. 전체 50.3%는 기본소득 지급 액수와 상관없이 도입에 찬성한다고 답했다. 액수별로 보면 월 20만원(71.7%)이 월 50만원(59.4%) 보다 높게 나타났다.

 

기본소득 도입에 찬성하는 응답자 8,079명은 찬성 이유 1순위로 전반적인 삶의 질 개선’(27.9%)을 꼽았다. 다음으로 인간의 기본권리 회복’(24.2%), ‘소비 증가로 인한 내수 경기 활성화’(13.8%)를 선택했다. 이는 국민들이 기본소득을 복지적 경제정책인 동시에 경제적 기본권 실현 정책으로 인식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전체 57.4%는 기본소득 지급을 위한 추가 세금 납부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추가 세금 납부에 대해 긍정적인 답변을 한 응답자 5,738명 가운데 개인 연소득의 1% 이상~2% 미만을 선택한 응답자가 32.3%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적으로는 연소득의 3.47%까지 납부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소득 재원 마련 방법은 수익 사업화 시행 세금 신설 재정개혁 세제개편 등 4개 분야로 나눠 조사했다. 그 결과 공공플랫폼 수익 사업화(빅데이터 공공화, 공공 운영 배달앱) 55.8% 탄소세 또는 환경세 부과 55.5% 현 세출 예산 조정 54.3% 상속세·증여세 세율 강화 47.7% 등이 분야별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실현가능성과 시기에 대한 질문에는 월 20만원 기준으로 전체 응답자 54.6%기본소득제 실현이 가능하다고 답했다. 실현 가능성을 언급한 5,457명에게 가장 적절한 실현 시기를 물으니 57.1%3년 이내를 지목했다. 이어 5년 이내 26.9%, 10년 이내 12.3%, 15년 이내 2.1% 등의 순이다.

 

유영성 경기연구원 기본소득연구단장은 기본소득 국민의식 조사 결과 월 20만원의 기본소득 지급과 3년 이내 조속한 도입이 현재 국민 수용성이 가장 높다면서 기본소득 정책 실행이 제대로 되기만 하면 국민 대다수의 기여와 지지를 얻어낼 수 있고, 그동안 쟁점이 됐던 재원 부담도 더 이상 문제가 안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기본소득제 실행 모델로는 기본소득과 취약계층 지원을 결합한 방식에 대한 지지가 44.7%로 가장 높았다. 이 점에 착안해 유영성 단장은 보편지급인 기본소득과 선별지급인 취약층 지원을 서로 대립시켜 다루지 말고 상호보완적으로 결합하는 이중구조 정책을 취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뉴스인광명 hosin33@hanmail.net
Copyright @2012 뉴스인 광명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우)14211 경기 광명시 시청로 138번길 28-1 T.02)2682-3020 F.02)2625-0604 E-mail:hosin33@hanmail.net 등록번호 경기 아51041 등록일 2014.8.14 제호 뉴스인 광명 발행인·편집인 기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