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대변인 브리핑) 김동연의 민생경제 현장투어, 첫 방문지는 투자유치 현장

  • 등록 2025.08.20 16:17:38
크게보기

- 달달버스, TOK첨단재료의 평택 포승공장 착공식 찾아

- 20234. 취임 첫 해외출장(일본)에서 맺은 MOU가 투자 결실로

- 김동연, “현재까지 91조 투자유치. 두 달 뒤쯤 100조 목표 달성할 수 있을 것

- 오찬 후 평택항서 중소기업인들과 관세대응 간담회 열 예정

 

달달버스가 첫 번째로 달려간 곳은 1천억 원대의 외국 투자유치 현장이었습니다.

 

김동연 경기도 지사는 오늘 TOK첨단재료의 평택 포승공장 착공식에 참석하면서 민생경제 현장투어의 대장정을 시작했습니다. ‘달달버스는 알려진대로 달려간 곳 마다 달라진다는 의미입니다.

 

 

TOK첨단재료는 오늘 착공식이 열린 포승읍 희곡리 817-5 55,560(16807)에 총 1,010억 원을 투자해 고순도 화학제품 및 포토레지스트 제조시설을 구축합니다. 지금은 황량한 자갈밭이지만, 내년 7월이면 최첨단 반도체 생산설비 시설로 확 달라지게 됩니다.

 

포토레지스트는 반도체 원료인 원판 모양의 실리콘웨이퍼에 뿌리는 감광액(感光液)’을 말합니다. 빛을 받아 반도체 회로를 그리는 데 사용되는, 핵심소재입니다.

 

김동연 지사는 반도체는 국가경쟁력을 좌우하는 첨단전략산업이며, 그 중심에는 소재-부품-장비가 있다면서 경기도를 반도체 국제허브로 만드는 데 있어 중요한 결실을 맺게 됐다고 착공식의 의미를 평가했습니다.

 

김 지사에겐 남다른 의미가 있는 첫 행보였습니다. 김동연 지사는 지난 20234, 취임후 첫 해외출장지로 일본 가나가와현을 방문했습니다. 김 지사는 당시 가나가와현에 있는 세계적인 반도체 핵심소재 기업 TOK의 본사를 찾아 타네이치 노리아키 대표를 만나 투자 유치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 결실이 2년 만에 평택 포승공장 착공식으로 가시화된 것입니다.

 

 

 

<포토레지스트 평택공장 착공 의미>

 

반도체 핵심소재 안정적 생산기반 확보 = TOK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TSMC, 인텔 등에 납품하는 세계 시장점유율 1위 포토레지스트 생산기업입니다. TOK첨단재료TOK(도쿄오카공업)의 한국법인으로, 이번에 평택 공장이 준공되면 일본 의존도가 높은 반도체 핵심소재 포토레지스트의 국내 자급률이 확대됩니다. 김동연 지사는 핵심소재의 안정적 생산기반 확보를 통해 공급망 안정과 기술 자립도 향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K-반도체 벨트완성도 강화 = 경기도는 평택 포승·현덕지구를 포함해 용인, 이천, 화성, 안성 등 반도체 산업 거점을 연결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포승·현덕지구는 반도체 벨트의 서해안 관문이자 첨단소재 거점입니다. 오늘 착공식은 ‘K-반도체 벨트를 향한 가속 페달입니다. 김 지사도 “K-반도체 벨트의 완성도를 강화한다는 점에서 (오늘 착공식이)아주 커다란 의미가 있다고 했습니다.

 

도민 삶의 질 향상 = 오늘 1천억 원대 투자유치로 인해 김동연 지사의 약속인 재임 중 ‘100+’ 투자유치에 한걸음 더 다가갔습니다.

 

김동연 지사는 지사취임이후 100조 이상 투자유치를 약속했는데 현재 91조를 달성한 상태라며 두달 뒤쯤 목표를 앞당겨 달성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투자유치는)경기도 일자리를 활성화하고, 나아가 도민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습니다.

 

오늘 행사에는 김동연 지사를 비롯해 정장선 평택시장, 타네이치 노리아키 TOK대표, 김기태 TOK첨단재료 대표, SK하이닉스-삼성물산 부사장 등 10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김 지사는 타네이치 노리아키 대표께서 기념사 중 (평택)1공장에 이어 2공장까지의 계획을 말씀하시면서 경기도나 평택시에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하셨는데, 오늘 바로 그 답을 드리겠다. 경기도와 평택시는 행정적, 정책적으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화답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 반도체 생태계의 일원으로서 점점 더 큰 역할을 해주시길 기대한다고 당부했습니다.

 

<포승공장 착공식후 평택항서 중소기업인들과 관세대응>

 

김동연 지사의 이번 민생투어 콘셉트는 경청 소통 해결입니다.

 

착공식을 마친 김동연 지사는 오찬후 평택항 마린센터로 이동해 자동차 기업 및 부품기업 관계자들을 만납니다. ‘반도체에 이어 관세가 첫 번째 대장정의 화두였습니다.

 

김 지사는 지난 331일 평택항에서 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과 발표로 직접적 타격이 예상되는 자동차 업계를 만나 애로를 청취한 뒤 경기도비상경제회의를 여는 등 선제적인 대응에 나선 바 있습니다.

 

지난 410일엔 직접 미국으로 가서 그레첸 휘트머 미시간 주지사를 만나 한국 부품기업-미 완성차 3사 채널 구축 등 4개항의 합의도 이끌었습니다.

 

미국 출장 직후인 415일에는 3월 간담회 기업인들을 집무실로 초청해 성과를 공유하고 추가 논의를 했습니다.

 

이후 경기도는 미국 관세부과 여파로 피해가 예상되는 도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특별경영자금 500억 원을 추가 지원해 총 1,000억 원을 확대 지원했습니다.

 

오늘 다시 미국과의 관세협상 타결이후 자동차 업계의 현실을 경청하고, ‘소통하면서 추가지원 조치 등의 해결책을 모색할 계획입니다.

 

 

관리자 hosin33@hanmail.net
Copyright @2012 뉴스인 광명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우)14211 경기 광명시 시청로 138번길 28-1 T.02)2682-3020 F.02)2625-0604 E-mail:hosin33@hanmail.net 등록번호 경기 아51041 등록일 2014.8.14 제호 뉴스인 광명 발행인·편집인 기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