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정치

국가예방접종 백신 자급율 , 28.6%(21 종 중 6 종 ) 에 불과

최근 5 년간 12 차례에 걸쳐 백신 수급 문제 발생

김남희 의원 ( 더불어민주당 ,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 이 질병관리청에서 제출받은 국산 ( 자급 ) 국가예방접종백신 현황 에 따르면 , 21 종의 국가예방접종백신 중에서 원액까지 국내 자급이 가능한 백신은 B 형간염 , 파상풍 / 디프테리아 , b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 수두 , 인플루엔자 ( 독감 ), 신증후군출혈열 6 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

 

원액까지 생산하는 국내 제약회사는 4 개 회사로 , 녹십자 (4 ), SK 바이오사이언스 (4 ), LG 화학 (3 ), 일양약품 (1 ) 이었다 . 나머지 15 종의 국가예방접종백신은 국내 회사가 생산하더라도 원액은 해외에서 공급받고 있었다 .

 

질병관리청이 비축해야 할 백신이라고 보고한 (7 월 임시회 업무보고 ) 4 종의 백신 ( 피내용 BCG, MMR, PPSV, Tdap) 도 자급이 안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 또한 , 2023 23 년 하반기부터 올해 여름까지 907 (5.25. 기준 ) 의 환자가 발생한 감염병인 백일해와 2023 19,540 (38.2 /10 만 명 ) 의 감염자가 있는 결핵도 백신 자급이 안 되고 있었다 .

 

2013 년에도 정부는 2020 년까지 백신 자급률 80%( 전체 28 종 중 22 ) 를 달성하겠다는 백신 산업 글로벌 진출방안 을 발표하였지만 , 실제 성과를 내지는 못했다 .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 2013 년 이후 자급화에 성공한 백신은 단 1 ( 파상풍 - 디프테리아 (Td) 백신 ) 에 불과했다 . 질병관리청은 생물학적 테러에 대응하기 위한 탄저백신을 공동개발하여 식약처 품목허가를 진행 중이라고 보고했다 .

 

백신 자급이 지지부진한 사이에 백신 공급 중단 사례는 끊이지 않았다 . 김남희 의원실이 질병관리청에 받은 자료에 따르면 , 지난 5 년간 11 개의 백신에서 공급중단 사례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

 

김남희 의원은 백신 개발은 유행이 아니다 . 정부가 m-RNA 백신 개발 사업을 하겠다며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까지 결정했지만 , 정작 개발이 지지부진한 국가예방접종백신의 자급화는 소홀히 하는 게 아닌가 하는 의문이 있다 .” 라면서 신종 감염병 대응 백신 개발에만 매달리지 말고 , 필수 백신의 자급화를 통해 백신 주권을 확보하기 위해 더 많은 예산과 인력을 투입해야 한다 .” 라고 강조했다 .

 

Photo View





시 있는 마을



동네이야기

더보기
광명7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아동·청소년과 함께하는 문화체험 ‘우리들의 반짝이는 시간’ 진행
광명시 광명7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위원장 유상기)는 지난 13일 관내 아동공동생활가정과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청소년들과 함께 문화체험 행사 ‘우리들의 반짝이는 시간’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문화체험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은 아동·청소년들에게 예술을 통한 정서적 치유와 즐거운 추억을 선물하기 위해 마련했다. 이날 참여한 아동·청소년 30여 명은 협의체 위원들과 함께 대학로를 찾아 연극 <시간을 파는 상점>을 관람하며 뜻깊은 시간을 보냈다. 해당 작품은 시간의 소중함과 삶의 가치를 되돌아보게 하는 청소년 성장 드라마로, 아이들에게 깊은 감동과 여운을 남겼다. 공연이 끝난 뒤에는 다과를 나누며 각자의 감상과 생각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참가자들은 그 시간으로 문화체험의 의미를 더욱 깊이 느꼈다. 유상기 위원장은 “이번 경험이 아이들이 삶의 가치와 꿈에 대해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지역 아동·청소년들이 문화적으로 소외되지 않도록 꾸준히 관심과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김미정 동장은 “앞으로도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함께 아동·청소년을 위한 돌봄과 문화복지 사업이 활발히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광명7동

무료 광고 요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