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사회

독일의 하루 확진자 수 19,000명

202111019시 기준, 전체 확진자 수는 1, 929, 410, 회복 중 1, 551, 250, 사망 40, 741명인 가운데 하루 확진자수는 19,004명 증가 하였다.

 

독일은 131일까지 락다운(Lockdown)을 연장하거나 강화하게 된다. 슈퍼마켓, 약국, 애견용품가게, 세탁소 등 생활에 필요한 최소한의 생필품 가게를 제외하고 모든 상점들은 문을 닫아야 한다. 여기에 은행, 관공서, 회사, 교회 등도 포함된다. 학교는 대게 온라인 수업을 하지만, 주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교나 유치원은 문을 닫고 온라인 수업으로 대체할 예정이다.

접촉 인원 수 제한도 있다. 기존 5명만 모이는 제한에서 본인이 속한 가구 제외 1명으로 제한된다. 여기에 14세 미만 어린이는 포함되지 않는다.

 

17일 기준 10만 명당 신규 감염자가 200명을 넘는 지역 (일명 Hotspot)은 본인 거주 주소지로부터 반경 15Km 이내 이동이 제한된다. 근무나 위급상황 등 납득이 되는 경우에만 15Km 이상 이동할 수 있다.

 

독일의 수도 베를린도 코로나바이러스로 위험하다. 낮밤을 가리지 않고 사람들로 붐볐던 베를린 거리는 한적하다 못해 적막감만 돈다. 메르켈 총리가 거주하는 국회의사당 역시 1월의 차가운 바람과 함께 썰렁하기 그지없다. 밤거리는 더할 나위 없다. 유리문으로 뒤덮인 국회의사당의 천장이 불빛으로 반짝인다.

 

코로나바이러스 이전에 브파덴부르크 문 (Das Brandenburger Tor)은 항상 붐비었다. 이곳을 거니는 사람들은 독일의 통일에 대해 기억하며 나라에 대한 사랑을 키웠다. 독일은 1945년 세계 2차 대전에서 패전하여 강제로 동독과 서독으로 나뉘었다. 오랜 시간 동안 한 나라가 두 나라로 되다가, 1990103일 동독과 서독이 하나로 되었다.


통일 이후에도 독일은 현재까지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지만, 통일(die Wiedervereinigung von Deutschland)이 된 것에 대한 큰 자부심을 항상 잊지 않으려고 한다. 평화 통일은 우리나라가 받아들여야 할 과제이다. 독일은 현재 많은 난민들을 받아들이는 정책으로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공존한다.

 

우리나라 역시 세계2차 대전 당시 일본에게 나라를 빼앗긴 이후, 제대로 그 기쁨을 맛보기도 전 한국전쟁의 발발로 현재까지 남한과 북한으로 나뉘어져있다. 지구상 한 나라가 두 나라로 나뉜 나라는 현재 우리나라뿐이다.

코로나바이러스로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그러나 이런 어려운 상황에서도 우리는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를 결코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베를린에서 양정아 기자

Photo View





시 있는 마을



동네이야기

더보기
디딤청소년활동센터, 실습 중심의 체험활동으로 청소년 안전의식과 생존역량 강화
(재)광명시청소년재단(이사장 박승원) 디딤청소년활동센터(센터장 박사라)는 8월 5일부터 8월 7일까지 3일간 진행한 ‘2025년 청소년안전체험활동 [생존시그널]’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올해 ‘생존시그널’은 다양한 재난 유형과 현장상황을 실습 위주로 구성하여 청소년들이 실제 위기상황에서 스스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데 초점을 두고 마련되었다. 프로그램은 ▲일상 속 재난상황 인식 및 생존물품 실습 ▲경기해양안전체험관 해양생존 교육(침수선박 탈출 등) ▲경기도국민안전체험관 생활·캠핑안전체험 및 4D 재난안전 체험 등 3회에 걸쳐 다채롭게 운영됐다. 특히, 올해 활동에는 지난해 참가자들의 의견을 반영해 체험 회차를 2회에서 3회로 확대하고, 해양·재난·생활안전 등 다양한 주제별 실전 체험을 추가했다. 참여 청소년들은 각 체험에서 적극적으로 의견을 내고 서로 도우며 문제를 해결하는 등, 단순 이론을 넘어서는 실질적인 안전 역량을 몸소 익혔다. 프로그램에 참가한 청소년은 “평소 TV나 뉴스로만 보던 재난 상황들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어서 새로웠고. 특히 침수선박 탈출이나 캠핑 안전 교육을 실습해보니 실제로 위기가 닥쳤을 때 침착하게 대처할 자신감

무료 광고 요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