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6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정치

한전 적립금 최근 5년간 47.7조, 올해 17.7조 원으로 뚝 떨어져! 부채는 2021년 145조 원, 2023년 상반기 201조 원으로 38.1% 늘어!

양이원영 의원, “윤석열 정부가 지금처럼 한전 경영정상화 방안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는다면 한전은 파산 위기에 직면하게 될 것”
“한전이 막대한 빚으로 매일 74.5억 원의 이자를 내는 것이야말로 미래세대에 대한 착취이자 책임 전가”
“이는 많은 부채로 인한 이자비용을 전기요금에 떠 넘기고 있는 것!”



한국전력공사의 적립금이 빠르게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작년 연말 산업부가 국회에 보고한 한국전력 경영정상화 방안에 따른 전기요금 인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한전채 발행도 불가능해지고 파산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전력공사 적립금 급감]

양이원영 의원실(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이 한국전력공사로부터 받은 채권(한전채) 발행 상세내역에 따르면 한전의 적립금은 202242.7조 원에서 올해 17.7조 원으로 급감했다. 한전채의 발행은 공사의 자본금과 적립금을 합한 금액을 기준으로 정해지는데, 한전의 자본금은 3.2조 원으로 변동이 없어 이를 기준으로 역추산한 것이다. 한전채 발행한도는 기말결산 및 주주총회 의결을 통해서 결정되며, 당해연도 한도는 전년 결산기준으로 산출된다.

 

자세히 살펴보면, 2018년 한전의 적립금은 50.8조 원, 2019년은 49.7조 원, 2020년은 47.1조 원, 2021년은 48.2조 원, 2022년은 42.7조 원으로 최근 5년 평균 47.7조 원을 유지했다. 하지만 작년 적자가 급증하여 한전의 적립금은 17.7조 원으로 뚝 떨어졌다.

 

[한전채 발행 한도]

작년 연말 한국전력공사법이 개정되어 한전채 발행 한도가 늘어났다. 20271231일까지 한시적으로 공사의 사채발행한도를 자본금과 적립금을 합한 금액의 5배로 확대하고, 경영위기 상황 해소 등을 위하여 긴급하게 필요한 경우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 6배의 범위 내에서 발행할 수 있도록 했다.

 

한전채의 발행 한도가 기존의 2배에서 5배로 늘어났지만 발행한도 금액은 91.8조 원에서 104.5조 원으로 12.7조 원이 증가하는데 그쳤다. 적립금이 1년 새에 42.7조 원에서 17.7조 원으로 급감했기 때문이다. 20232분기 기준으로 시중에 있는 한전채는 69.5조 원 규모이다.


[한국전력공사 부채와 이자비용]

한국전력공사의 작년 적자는 연결재무제표 상 약 326,500억 원이었다. 올해도 벌써 2분기까지 84,500억 원의 적자가 추가로 발생하였다.

 

이렇게 계속되는 적자들로 인해 한전의 부채액은 어느덧 200조 원을 넘어섰다(연결재무제표). 2021년 말 145조 원 규모였으나, 1년 반 만에 38.1%가 증가하여 2013,500억 원이 되었다. 일 평균 이자비용도 201819.4억 원이었으나 2023년 상반기 기준 74.5억 원으로 약 3.8배 증가하였다.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년 상반기

부채

(연결재무재표)

1,141,563

1,287,081

1,324,753

1,457,970

1,928,047

2,013,500

일평균 이자비용

19.4억원

21.3억원

20.2억원

18.6억원

38.9억원

74.5억원

자료 : 한국전력공사

 

[한전의 경영 정상화 방안 이행 필요]

작년 연말 통과된 한국전력공사법 개정안에는 정부는 조속한 시일 내에 전기요금 정상화 등 한전의 경영 정상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라는 부대의견이 붙어있다. 작년 12월 산업부는 국회에 한국전력 경영정상화 방안과 함께 2023년 전기요금 조정방안()을 보고했다.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누적

1(전고후저 분산)

기준연료비 45.3+ 기후환경 1.3+ 연료비조정 5.0

24.4

13.6

9.1

4.5

51.6

2(균등 분산)

기준연료비 45.3+ 기후환경 1.3+ 연료비조정 5.0

17.6

11.3

11.3

11.3

51.6

3(연료가격이 더 상승할 경우 연료비조정폭을 확대)

기준연료비 45.3+ 기후환경 1.3+ 연료비조정α

19.4

13.6

9.1

4.5

46.6

이에 따르면 2026년까지 한전의 누적 적자 해소를 위해 올해 전기요금을 kWh51.6원을 올려야 한다. 하지만 정부는 지난 1분기 때 전기요금을 kWh 13.1원을 올렸고, 2분기 때에는 kWh8.0원을 올리는데 그쳤다.

 

양이원영 의원은 작년의 엄청난 한전 적자로 인해 최근 5년간 47.4조 원 규모를 유지하던 적립금이 17.7조 원으로 급감했다적립금이 줄어들면 한전채 발행 한도 역시 줄어들어 빚으로 돌려막기조차도 힘들어질 것이라고 걱정했다.

또한, 양이 의원은 하지만 윤석열 정부는 한전 문제를 정치적으로 이용할 뿐 경영정상화 방안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다이대로 가다가는 한전은 파산 위기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리고 양이 의원은 경제를 살리기 위한 야당의 추경 제안을 정부는 미래세대에 대한 착취라고 비난했다, “막대한 부채 때문에 매일 이자를 74.5억 원씩 내는 것이야말로 미래세대에 대한 착취이자 책임 전가라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양이 의원은 현재 한전은 많은 빚으로 인한 이자 비용을 전기요금에 떠넘기고 있다전기요금을 현실화하여 한전을 하루빨리 경영정상화하고, 취약계층, 중소상공인과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에너지효율개선사업, 에너지바우처 지원을 확대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Photo View





시 있는 마을



동네이야기

더보기
광명7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아동·청소년과 함께하는 문화체험 ‘우리들의 반짝이는 시간’ 진행
광명시 광명7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위원장 유상기)는 지난 13일 관내 아동공동생활가정과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청소년들과 함께 문화체험 행사 ‘우리들의 반짝이는 시간’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문화체험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은 아동·청소년들에게 예술을 통한 정서적 치유와 즐거운 추억을 선물하기 위해 마련했다. 이날 참여한 아동·청소년 30여 명은 협의체 위원들과 함께 대학로를 찾아 연극 <시간을 파는 상점>을 관람하며 뜻깊은 시간을 보냈다. 해당 작품은 시간의 소중함과 삶의 가치를 되돌아보게 하는 청소년 성장 드라마로, 아이들에게 깊은 감동과 여운을 남겼다. 공연이 끝난 뒤에는 다과를 나누며 각자의 감상과 생각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참가자들은 그 시간으로 문화체험의 의미를 더욱 깊이 느꼈다. 유상기 위원장은 “이번 경험이 아이들이 삶의 가치와 꿈에 대해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지역 아동·청소년들이 문화적으로 소외되지 않도록 꾸준히 관심과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김미정 동장은 “앞으로도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함께 아동·청소년을 위한 돌봄과 문화복지 사업이 활발히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광명7동

무료 광고 요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