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광명종합사회복지관의 천사들

마을공동체 활성화

회복적 정의가 건강한 소통의 출발점

광명시 마을학교에서는 마을공동체 만들기 교육을 소하2동 복지회관에서 광명시 (사)마을(반가운 이웃, 함께 하는 마을, 살고 싶은 서울) 주관으로 진행 중이다.

 

지난 6월27일 토요일에 진행된 네 번째 교육의 강사로 나오신 한국평화교육훈련원 이재영 원장은 “회복적 정의 회복적 생활교육”이라는 주제의 강의에서

“우리 사회가 마을공동체의 뜻을 살려 안전하고 평화로운 공동체로 나아가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을 만든 것보다 마을 구성원의 관계가 회복되고 공동체성이 좋아져야 한다. 옛날에는 마을이 끈끈한 공동체를 형성하여 그 안에서 교육과 삶이 함께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다. 현대에 와서 공동체가 무너지면서 사람과 사람의 관계도 무너졌다.

마을공동체를 살리는 것은 무너진 관계를 회복하고 공동체성을 회복하며 정의를 회복하는 일이다.

공동체 안에서 갈등을 피할 수 없으나 건강하게 갈등에 직면하여 해결하는 노력을 하여야 한다. 평화로운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공감하며 경청하고, 회복적 질문을 하며, 함께 둘러앉아 소통해야 한다.

마을이 건강해야 아이들도 건강하게 자라고, 우리 사회가 정의로워질 것이다. 그래야 누구나 안전하고 평화롭게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회복적 정의가 이루어지는 공동체는 아래로부터 서서히 쌓아져야 하며 누구나 함께 할 수 있도록 세심한 준비가 필요하겠다.

광명시에서 마을공동체가 모범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 교육이 출발점이 되어 뻗어나가기를 바란다”라고 하였다.

2015 광명시 마을학교에서는 광명시 마을공동체 활성화 및 주민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한 교육을 다음과 같이 운영한다.

7월8일(수) 오전 10시~12시에 마을공동체와 지역사회 활성화-주민주도의 마을만들기에 대한 이해와 사례,

7월11일(토) 오전10시~12시에는 마을경제와 공유를 주제로 교육

교육대상은 마을공동체 만들기에 관심 있는 지역주민이며, 교육인원은 선착순 30명이다.

소하2동 복지회관 시민 소통누리터에서 하며 신청은 광명시 미래전략실(2680-2058)로 문의하면 된다.

                                                                                            신민경 시민기자

Photo View





시 있는 마을



동네이야기

더보기
광명7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아동·청소년과 함께하는 문화체험 ‘우리들의 반짝이는 시간’ 진행
광명시 광명7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위원장 유상기)는 지난 13일 관내 아동공동생활가정과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청소년들과 함께 문화체험 행사 ‘우리들의 반짝이는 시간’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문화체험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은 아동·청소년들에게 예술을 통한 정서적 치유와 즐거운 추억을 선물하기 위해 마련했다. 이날 참여한 아동·청소년 30여 명은 협의체 위원들과 함께 대학로를 찾아 연극 <시간을 파는 상점>을 관람하며 뜻깊은 시간을 보냈다. 해당 작품은 시간의 소중함과 삶의 가치를 되돌아보게 하는 청소년 성장 드라마로, 아이들에게 깊은 감동과 여운을 남겼다. 공연이 끝난 뒤에는 다과를 나누며 각자의 감상과 생각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참가자들은 그 시간으로 문화체험의 의미를 더욱 깊이 느꼈다. 유상기 위원장은 “이번 경험이 아이들이 삶의 가치와 꿈에 대해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지역 아동·청소년들이 문화적으로 소외되지 않도록 꾸준히 관심과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김미정 동장은 “앞으로도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함께 아동·청소년을 위한 돌봄과 문화복지 사업이 활발히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광명7동

무료 광고 요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