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정치

임오경 국회의원, 윤석열 정부가 없앤 한국영화 발전 마중물 되살려내다!

영화입장권 부과금 되살린 영비법 개정안 본회의 통과!

- 윤석열 정부 영화관 입장권 부과금 폐지 이후에도 극장의 요금인하 없어

- 임오경 의원 "입장권 부과금은 한국영화 제작활성화를 위한 마중물K-무비 진흥 위해 힘쓰겠다"


더불어민주당 임오경 국회의원(경기 광명갑,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간사)이 대표 발의한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영비법) 개정안을 반영한 대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그간 정부는 영화발전기금을 설치해 영화예술의 질적 향상과 영화·비디오물 산업의 진흥 및 발전을 위해 사용해왔고 이의 재원마련을 위해 영화 입장권 가액의 3%에 해당하는 금액을 영화발전기금에 납부하는 영화 부담금을 거두어왔다.


영화발전기금은 독립영화 전용관 운영 지원, 영화제 지원, 소형 및 단편영화 제작 지원, 예술 및 독립영화 발전 관련 사업 지원 등 다양한 영화계 지원에 활용되고 있다, 규과거 화제가 되었던 벌새’, ‘우리집등의 독립영화들이 이러한 영화발전기금의 지원을 받아 개봉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다져진 한국영화의 기초는 기생충같은 세계적 K-무비 탄생의 기반이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지난해 4월 윤석열 정부는 총선을 앞두고 이른바 그림자 조세를 폐지한다며 영화입장권 부담금 폐지를 예고하고, 영화 티켓 가격이 인하될 것처럼 국민을 호도했다. 그러나 영화입장권 부담금이 폐지된 20251월 이후에도 극장은 영화 티켓의 가격을 인하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영화입장권 부담금 폐지가 극장 배불리기에만 이용됐다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했다.


또한 영화 입장권 부담금이 폐지됨에 따라 영화발전기금의 안정성이 위축되고, 국민체육진흥기금 등 타 기금의 전입에만 의존하게 됨으로써 영화 산업의 기반이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만 커진 것이다.


임 의원이 대표 발의한 영비법의 주요 내용은 영화 입장권 가액의 3%에 해당하는 금액을 부과금으로 징수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번 법 통과를 통해 영화입장권 부담금이 의무화되고, 부담금 가액을 법률로 명시함으로써 영화발전기금의 재원이 안정화될 것이라는 기대를 받는다.


임 의원은 영화입장권 부담금은 영화발전기금의 유일한 재원이자, 오늘날의 K-무비를 탄생시키고 영화계를 발전시키는데 있어 마중물 역할을 해왔다문화체육관광위원회 간사로서 K-콘텐츠의 핵심인 영화산업 진흥을 위해 힘쓰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Photo View





시 있는 마을



동네이야기

더보기
광명동부새마을금고, ESG 실천 앞장
광명동부새마을금고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념 실천의 일환으로 의미 있는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한상구 이사장, 그린단장 선금자를 비롯한 ESG그린단 20여 명은 4월 30일, 광명시 하안동에서 철산역 상업지구까지 ‘줍킹(줍다+워킹)’ 봉사활동을 진행하며 지역 환경 보호에 앞장섰다. 이날 활동은 ESG 경영의 핵심 가치인 ‘환경보호’와 ‘사회적 책임’ 실현을 목표로 기획되었으며, 도보 이동 중 도심 곳곳의 쓰레기를 직접 수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참여자들은 폐비닐, 일회용품, 담배꽁초 등 다양한 쓰레기를 수거하며 도시 미관 개선에도 기여했다. 한상구 이사장은 “광명동부새마을금고는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며 책임을 다하는 금융기관으로, ESG 경영이념을 실천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며, “이번 활동은 환경을 생각하는 마음을 행동으로 옮긴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봉사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광명동부새마을금고는 금융 서비스를 넘어, 지역 공동체를 위한 다양한 사회공헌활동과 친환경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다. 이번 줍킹 활동도 지역 주민의 관심을 끌며, 일회성 이벤트를 넘어 ESG 문화를 일상으로

무료 광고 요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