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0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사회

독버섯처럼 자라나는 수의계약 의혹!

시민의 혈세가 측근 챙기기용 쌈지돈으로 전락한건 아닌지?

수의계약은 신속한 예산집행과 지역의 작은 업체를 육성하려는 목적으로 보장된 지방계약법이다. 이러한 좋은 취지에도 불구하고 수의계약이 온갖 비리의 온상이 된 것은 단체장의 인맥관리용으로 둔갑하면서 시작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근래에 광명시 모 언론은 현재 광명시 수의계약 현황은 특정 업체 밀어주기가 암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짐작케 하고 있다.’ ‘이들은 이름을 걸고 단체장을 역임하고 있기도 하다. 즉 공공기관과 공생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라고 확정해야 할 상황이다.’ ‘이 업체는 2010년부터 20187월까지 단 한 건의 수의계약이 없었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이에 본지는 설마하면서 수의계약 현황을 살펴보기로 했다. 그 결과 모 언론이 제기한 의혹이 사실이라는 심증을 갖게 되었다.

이 업체는 200812460여만원 1, 200912390여만원 1건의 실적이었다. 더구나 2010년부터 20187월까지는 단 한건도 계약실적이 없었다.

그런데 박승원 시장 취임 이후인 20188월부터 20195월까지 111백여만원에 달하는 수의계약을 광명시와 맺었다. 더구나 이 업체의 대표는 현직 단체장을 맡고 있으며 시의 위원회에 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이보다 더한 업체도 있다. 또 다른 현역 단체장이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또 다른 업체는 박승원 시장 취임 이후인 2018618일부터 2019522일까지 224백여만원이라는 금액을 수의계약으로 맺었다.

여기에 같은 기간 수의계약 이외의 계약금액도 75백여만원에 이른다. 물론 시공능력으로 수주했겠지만 둘을 합하면 일년에 3억원에 이르는 금액이다.

 

2012514십여만원으로 출발하여 적을 때는1년에 18십여만원에서 많게는 76백여만원을 수의계약하던 업체가 1년에 2억이 넘는 수의계약을 맺었다는 것은 누구에게 물어보더라도 특혜라는 의혹의 시선을 보낼만 하다.

 

더욱 의심이 가는 상황은 이분이 박승원 시장 취임 후 인수위원회에 버금가는 시정혁신위원회 위원으로 참여하였다는 것이다.

 

이렇게 시장과 관계를 맺고 있으며 현역 단체장으로 활동하는 사람들이 시장이나 윗사람의 라인을 타고 실무자들에게 압박을 가한다면 힘없는 공무원들 입장에서는 싫은 내색을 할 수 없을 것이다.


결국 수의계약 비리가 없어지려면 정치인들이 변해야 한다. 비리는 자신들이 저지르고 책임은 애꿎은 공무원들에게 전가시키는 행위를 하여서는 안 될 것이다.

 

박승원 시장은 전혀 몰랐을 수도 있다. 그러나 몰랐다고 넘어갈 문제가 아니다. 왜 시장의 측근이라고 시민들이 말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그렇지만 시장하고 가까운 사람이라 해서 일을 못하란 법은 없다. 얼마든지 할 수 있지만 그것이 정당성을 인지 받으려면 누가 보아도 수긍 할 수 있어야 한다. 시민들이 인정하지 못하는 이런 비리의혹이 계속해서 나온다면 시장이 의도하였든 의도하지 않았든 시장의 정치적 행로에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번을 계기로 앞으로 다시 이런 글을 안 쓸 수 있길 기대해본다.

Photo View





시 있는 마을



동네이야기

더보기
광명7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아동·청소년과 함께하는 문화체험 ‘우리들의 반짝이는 시간’ 진행
광명시 광명7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위원장 유상기)는 지난 13일 관내 아동공동생활가정과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청소년들과 함께 문화체험 행사 ‘우리들의 반짝이는 시간’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문화체험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은 아동·청소년들에게 예술을 통한 정서적 치유와 즐거운 추억을 선물하기 위해 마련했다. 이날 참여한 아동·청소년 30여 명은 협의체 위원들과 함께 대학로를 찾아 연극 <시간을 파는 상점>을 관람하며 뜻깊은 시간을 보냈다. 해당 작품은 시간의 소중함과 삶의 가치를 되돌아보게 하는 청소년 성장 드라마로, 아이들에게 깊은 감동과 여운을 남겼다. 공연이 끝난 뒤에는 다과를 나누며 각자의 감상과 생각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참가자들은 그 시간으로 문화체험의 의미를 더욱 깊이 느꼈다. 유상기 위원장은 “이번 경험이 아이들이 삶의 가치와 꿈에 대해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지역 아동·청소년들이 문화적으로 소외되지 않도록 꾸준히 관심과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김미정 동장은 “앞으로도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함께 아동·청소년을 위한 돌봄과 문화복지 사업이 활발히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광명7동

무료 광고 요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