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6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행정

학자금대출 받은후 돌아오지 않는 대학생 1,137명

대출잔액이 91억원, 미신고자 현황파악도 어려워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을 받은 후 해외이주 또는 해외유학을 사유로 출국하는 경우 별도의 상환관리가 필요함에도 한국장학재단은 출국자의 자진신고에만 의존하고 있어 미신고자에 대한 상환 관리의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박경미 의원(국회 교육위원회·운영위원회)이 한국장학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 해외이주 및 해외유학 신고자 현황에 따르면 현재까지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을 받고 해외이주를 신고한 누적인원은 총 311, 미상환 대출 잔액은 109천만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외유학을 신고한 누적인원은 총 27,803명으로 미상환 대출 잔액은 1,996억 원에 달한다(<1>, <2> 참조).


<1>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 해외이주신고자 현황

(’18.8월말 기준 단위: , 백만 원)

구분

’13년 이전

’14

’15

’16

’17

’18

합계

해외이주

신고인원

79

22

48

87

40

35

311

대출잔액

83

20

122

317

232

318

1,093



<2>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 해외유학신고자 현황

                                                                                                                            (’18.8월말 기준 단위: , 억 원)

구분

’13년 이전

’14

’15

’16

’17

’18

합계

해외유학

신고

인원

6,447

3,162

4,850

6,187

4,286

2,871

27,803

대출

잔액

373

221

344

473

347

237

1,996

 

취업 후 학자금 상환 특별법에 따르면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을 받은 채무자가 해외이주를 할 경우 출국 전에 신고하고 대출원리금 전액을 상환해야 하며, 전액 상환이 어려울 경우 분할상환을 약정할 수도 있다. 해외유학의 경우에도 유학계획 및 원리금 상환계획을 사전에 신고하여야 하며, 유학계획기간 종료일로부터 1년 후까지 귀국하지 않으면 대출원리금 전액을 상환해야 한다.

 

문제는 해외유학 출국자가 자진 신고를 하지 않는 경우 한국장학재단에서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마땅치 않다는 것이다. 한국장학재단은 6개월 이상 해외출국자에 대하여 우편, 이메일 등을 통해 신고 의무 안내를 하고 있지만, 이들이 단순 해외 체류자인지 해외유학 신고대상자인지 여부는 확인할 수 없어 해외유학생에 대한 별도의 상환 안내 및 관리 부실이 우려된다.

 

한편, 해외이주와 해외유학을 신고하고도 법령에 따라 전액을 상환하지 않은 경우도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장학재단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해외이주 신고자 중 전액 또는 분할상환도 하지 않은 채 귀국하지 않은 관리 대상은 총 61, 대출잔액은 48,800만 원에 달해 전체 대출잔액의 약 4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 참조). 또한 해외유학 신고자 중 유학계획기간 종료 후 1년을 초과한 대출원리금 전액 상환 대상자는 1,137, 대출잔액은 총 91억 원에 달한다(<4> 참조).

 

<3>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 해외이주 신고자 중 관리 대상 현황

(’18.8월말 기준 단위: , 백만 원)

구 분

13년이전

14

15

16

17

’18.8

합 계

관리

관리대상

건수

-

-

-

22

21

18

61

잔액

-

-

-

184

129

175

488

 

<4>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 해외유학생 중 학업계획기간 종료자 현황

(2018.9.17. 기준, 단위: , 억 원)

도과기간

1년 미만

2년 미만

3년 미만

4년 미만

4년 이상

합계

인원

2,002

882

226

25

4

3,139

(1,137)

대출잔액

168

73

17

1

0.4

259

(91.4)

 

박경미 의원은 해외유학생 미상환자 중에는 유학계획기간 연장 신고를 잊었거나 대출금을 상환하기 어려운 처지에 있는 학생들도 있을 수 있다면서도 애초에 미신고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외이주자 및 유학생에 대하여 신고 의무를 확실하게 고지하고 신고 현황을 관리하는 사전적 대처가 학생들과 재단 모두에 바람직한 상환 관리의 근본적 대책일 것이라며 조속한 제도 개선 방안 마련을 주문했다.

Photo View





시 있는 마을



동네이야기

더보기
광명 경기항공고, 경기도교육청 ‘하이테크 특성화고’ 최종 선정
서울·경기 유일의 항공특성화고등학교인 경기항공고등학교(교장 유형진, 이하 경기항공고)가 경기도교육청이 주관하는 경기도 미래형 직업교육 모델학교‘2025 하이테크 특성화고’사업에 최종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이번 사업은 직업계고를 미래 유망 산업 중심으로 구조 전환하고, 고졸 취업과 후학습이 연계된 고교-대학-기업 협력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국가중점 직업교육사업이다. 경기항공고는 광명교육지원청, 광명시, 주식회사 샤프테크닉스케이, 한서대학교, 부천대학교 등과 함께 항공MRO(정비), 드론 운용·정비, 전기전자 기반 융합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한 3대 트랙 교육과정을 마련하여 이번 선정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 채용조건형(MRO기업 취업 트랙) ◦ 대학연계형(한서대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트랙) ◦ 융합특화형(드론 정비 및 융합기술 중심 트랙) 위와 같은 3가지 트랙으로 구성된 커리큘럼은 산업 수요에 맞춘 실무교육을 중심에 두고 있으며, 학생들에게 취업과 진학의 두 갈래 진로를 동시에 열어주는 ‘이중 출구 전략’을 기반으로 한다. 특히 경기항공고는 이미 국토교통부 인증 항공정비 면장 과정을 운영하며 항공전기전자과 등 항공 특성화 교육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무료 광고 요청

더보기